재무설계 개론 문제 및 문제풀이 AFPK를 준비하자
1. 재무설계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재무설계는 고객의 재무상태를 분석하고,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이다.
② 재무설계는 투자상품만을 추천하는 것이다.
③ 재무설계는 세금만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다.
④ 재무설계는 부동산 매매에만 초점을 둔다.
정답: ①
해설: 재무설계는 고객의 재무상태를 분석하고, 목표 달성을 위한 종합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이다.
2. 자산부채상태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일정 시점에서 자산과 부채, 순자산을 나타낸다.
② 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순자산이라고 한다.
③ 주식투자 수익은 자산부채상태표에 포함되지 않는다.
④ 부동산, 예금, 주식 등은 자산에 포함된다.
정답: ③
해설: 주식투자 수익은 자산부채상태표에 직접 포함되지는 않지만, 주식 자체는 자산에 포함된다. 수익은 현금흐름표에 반영된다.
3. 현금흐름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일정 기간 동안의 현금 수입과 지출을 기록한다.
② 자산 가치 변동을 모두 반영한다.
③ 부채 변동만을 기록한다.
④ 세금 납부 기록은 제외된다.
정답: ①
해설: 현금흐름표는 일정 기간 동안의 현금 수입과 지출을 기록한다.
4. 다음 중 고객의 재무비율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유동비율
② 부채비율
③ 저축률
④ 대출이자율
정답: ④
해설: 대출이자율은 대출 조건이지, 고객의 재무비율이 아니다.
5. 화폐의 시간가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현재가치는 미래가치보다 항상 크다.
② 미래가치 = 현재가치 × (1 + 이자율)^기간
③ 이자율이 높을수록 현재가치가 커진다.
④ 시간이 지날수록 현재가치가 증가한다.
정답: ②
해설: 미래가치 공식은 현재가치 × (1 + 이자율)^기간이다.
6. 재무설계 프로세스의 단계 순서로 옳은 것은?
① 재무목표 설정 → 재무상태 분석 → 전략 수립 → 실행 및 모니터링
② 재무상태 분석 → 재무목표 설정 → 전략 수립 → 실행 및 모니터링
③ 전략 수립 → 실행 및 모니터링 → 재무상태 분석 → 재무목표 설정
④ 실행 및 모니터링 → 재무목표 설정 → 재무상태 분석 → 전략 수립
정답: ②
해설: 재무설계 프로세스는 재무상태 분석 → 재무목표 설정 → 전략 수립 → 실행 및 모니터링 순서로 진행된다.
7. 소비자신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신용카드, 대출 등이 해당된다.
② 신용정보기관은 신용정보를 수집·관리한다.
③ 신용정보는 채권 추심에 직접 사용된다.
④ 신용평가기관은 신용등급을 산정한다.
정답: ③
해설: 신용정보는 채권 추심에 직접 사용되지 않고, 신용평가 등에 활용된다.
8. 부채관리의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대출기간과 자금의 사용목적이 일치해야 한다.
② 대출금리와 상환방법을 비교·검토해야 한다.
③ 현금흐름의 기회비용을 최소화해야 한다.
④ 신용카드 한도는 최대한 높게 설정해야 한다.
정답: ④
해설: 신용카드 한도는 필요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해야 하며, 무조건 높게 설정하는 것은 부채관리의 원칙이 아니다.
9. 다음 중 신용정보기관이 아닌 것은?
① 한국신용정보원
② 신용평가기관
③ 은행
④ 신용카드사
정답: ③
해설: 은행은 신용정보를 제공하지만, 신용정보기관은 아니다. 신용정보기관은 한국신용정보원, 신용평가기관 등이 해당된다.
10. 재무설계사의 윤리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고객의 정보를 무단 유출할 수 있다.
② 고객의 이익보다 회사의 이익을 우선한다.
③ 고객의 재무목표에 부합하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재무설계안을 제시해야 한다.
④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한다.
정답: ③
해설: 재무설계사는 고객의 재무목표에 부합하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재무설계안을 제시해야 한다.
11. 다음 중 자산부채상태표에 포함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?
① 예금
② 주택
③ 월급
④ 주식
정답: ③
해설: 월급은 수입이므로 현금흐름표에 포함된다.
12. 현금흐름표에 포함되는 항목으로 옳은 것은?
① 자동차 대출
② 월급
③ 주택 가치 변동
④ 보험료 적립금
정답: ②
해설: 월급은 현금흐름표에 포함된다.
13. 다음 중 저축률을 계산하는 공식은?
① (저축액 ÷ 총수입) × 100
② (저축액 ÷ 총지출) × 100
③ (총수입 ÷ 저축액) × 100
④ (총지출 ÷ 저축액) × 100
정답: ①
해설: 저축률은 (저축액 ÷ 총수입) × 100으로 계산한다.
14. 재무설계 프로세스에서 ‘재무상태 분석’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?
① 투자상품 추천
② 자산부채상태표 작성
③ 목표 금액 산정
④ 세금 계산
정답: ②
해설: 재무상태 분석 단계에서는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를 작성한다.
15. 대출상품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?
① 대출금리
② 대출기간
③ 상환방법
④ 주식시장 동향
정답: ④
해설: 주식시장 동향은 대출상품 선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.
16. 채무자구제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채무자 구제제도는 부도난 기업만 이용할 수 있다.
② 개인회생, 워크아웃 등이 해당된다.
③ 채무자 구제제도는 대출금리를 낮춰준다.
④ 신용카드 한도만을 조정한다.
정답: ②
해설: 개인회생, 워크아웃 등은 채무자 구제제도에 해당한다.
17. 다음 중 재무설계사가 고객에게 제공해야 하는 문서가 아닌 것은?
① 투자설명서
② 재무상태표
③ 현금흐름표
④ 신용카드 청구서
정답: ④
해설: 신용카드 청구서는 재무설계사가 제공하는 문서가 아니다.
18. 행동재무학에서 ‘손실회피(Loss Aversion)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손실을 감수하려는 심리적 성향이다.
② 손실이 이익보다 더 크게 느껴지는 심리적 편향이다.
③ 손실과 이익을 똑같이 인식한다.
④ 손실을 무시하는 경향이다.
정답: ②
해설: 손실회피는 손실이 이익보다 더 크게 느껴지는 심리적 편향이다.
19. 다음 중 재무설계사의 역할이 아닌 것은?
① 고객의 재무상태 분석
② 고객의 재무목표 설정
③ 고객의 세금 신고 대행
④ 재무전략 수립
정답: ③
해설: 세금 신고 대행은 세무사의 역할이다.
20. 다음 중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?
① 금융소비자의 권익 보호
② 금융사고 예방
③ 금융상품 판매촉진
④ 금융소비자 피해 구제
정답: ③
해설: 금융상품 판매촉진은 금융소비자보호법의 목적이 아니다.